아나키즘 아카데미
이동락(李東洛 1890~1969) 황해도 평산 출신 :
한국자주인연맹
(08793)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56, 302호 | 1956, Nambusunhwan-ro, Gwanak-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 02-838-5296 | 관리자메일 : kaone@kaone.co.kr
COPYRIGHT ⓒ Danju Yurim Memorial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ENOUGHM]
한국자주인연맹 (08793)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56, 302호 | 1956, Nambusunhwan-ro, Gwanak-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 02-838-5296 | 관리자메일 : kaone@kaone.co.kr
COPYRIGHT ⓒ Danju Yurim Memorial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ENOUGHM]
이동락(李東洛 1890~1969) 황해도 평산 출신 :
1922년 천도교를 배경으로 한 독립운동단체 고려혁명위원회의 해외조직부장을 맡았다. 1925년 만주의 길림에서 정의부가 주축이 되어 형평사 및 노령대표들과 민족유일당을 조직할 때, 천도교 혁신파 대표로 참석하여 고려혁명당을 결성하였다. 중국국민당과 협동하여 하얼빈에서 당원모집 및 항일투쟁도중 1926년 장춘에서 일경에 체포되었으며, 1928년 징역7년형을 선고 받고 옥고를 치렀다. 1956년 독립노농당 제4차 특수전당대회 때 입당한 것은 독립운동가로서의 마지막 여정이었다. 독립노농당이 해산된 뒤 집권여당인 민주공화당의 영입제의를 거부하며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천도교 원로로서 종무원장을 지냈다. 1936년 친일전향 단체인 대동민우회에 가입, 발기인과 이사로 활동했다. 해방 후 이에 대한 자책감으로 일신의 영달을 거부하고 스스로에게 엄격했다. 당의 강제해산 당시 대표위원이었다.
독립유공자공훈록 편찬위원회,『독립유공자 공훈록』제4권, 국가보훈처, 1987, 791쪽, 792쪽; 김영천,「단주 유림과 독립노농당」,『아나키즘 학술대회, 단주 유림의 사상과 독립노농당』, 단주유림선생기념사업회, 2005, 104쪽; 단주유림선생기념사업회,『단주 유림 자료집<I>』, 1991, 10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