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키즘ㆍ학술논문
아나키스트들의 공통된 기본 개념은 자유와 자율이요 자유의사와 자유연합이다. 그들은 경직된 계층구조적조직을 거부한다. 중앙집권적 당조직을 거부하고 노동자, 농민 자신의 자율적 자유연합을 추구한다. 이러한 태도를 가리켜 흔히 그들에게는 조직론이 없다고 비평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실은 조직론이 없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그것과는 근본적으로 원리를 달리하는 별개의 이질적 조직론에 따르고 있는 것이다.
이론체계에 있어서도 마르크스주의에 있어서와 같은 권위주의적 정전은 없다. 그런 점에서 아나키스트들의 이론은 비교조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막스슈티르너의 에고이스트동맹에서와 같은 극단의 개인주의적 유형에서 비롯하여 푸루동의 개인주의를 내포한 상호주의를 거쳐 바쿠닌의 집산주의와 크로포트킨의 아나르코코뮤니즘에 이르는 몇 개의 유형이 구별될 수 있다.
혁명의 방법에 관해서도 또한 톨스토이나 간디와 같은 비폭력적 평화주의에서 바쿠닌에 있어서와 같은 폭력혁명의 권장에 이르는 양극단의 중간에 고드윈, 푸루동, 크로포트킨의 차례로 폭력의 부정에서 폭력의 긍정에로 거쳐가는 몇 개의 단계가 지적될 수 있다.
재산소유형태에 관해서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소규모의 사유(고드윈)에서 단순한 일시적 점유(푸루동)를 거쳐 코뮨(공동체)에 의한 공유(바쿠닌, 크로포트킨)에 이르는 몇가지 형태가 구별된다.
그러나 그들 전부에 공통된 특징은 국유의 거부다. 통치적 국가기구의 소멸을 목표로 하는 만큼 국가소유란 생각할 수도 없겠거니와 국가의 이름 아래 모든 사회적 부를 한손에 틀어쥔 정치권력은 그만큼 더욱 완강한 압박기관으로 굳어져서 관료전제로 타락할 것을 예견하기 때문이다.
소비에 관해서도 또한 몇가지 형태가 구별된다. 노동량에 따라 계산되는 생산품의 등가교환(푸루동), ‘능력에 따라 각인으로부터, 노동량에 따라 각인에게’ 라는 공동주의와 개인주의와의 혼합체계(바쿠닌), ‘능력에 따라 각인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각인에게’ 라는 순수한 공동주의(크로포트킨) 등이 구별된다.
그러나 적어도 아나키스트라고 불리어지는 한, 현존형태의 통치구조에 있어서의 국가와 그 계층구조적 집행기관으로서의 정부를 거부하는 점에 있어서 모두 일치한다. 이 점에서 한자사용 세계에서는 ‘아나키즘’을 흔히 ‘무정부주의’라고 번역한다. 그들은 비단 자본주의가 창출한 입헌 민주공화체제의 국가에 한해서가 뿐만 아니라 레닌주의가 주장하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체제의 국가에 대해서도 또한 극력 이를 배격한다.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가 국가권력의 탈취를 목표로 하는 노동계급의 정당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느냐의 여부는 아나키스트와 마르크스주의자 또는 볼세비키를 갈라 놓는 기본적쟁점으로 되고 있다. 이 문제에 있어서 아나키스트는 성서의 말을 인용하여 ‘악마의 손으로 악마를 몰아낼 수는 없다’고 강조하기를 잊지 않는다. 통치적 권력행사를 수단으로 해서 사회변혁을 규제하려는 사상에 기초한 일체의 지도와 정당은 결국 반혁명적인 것으로 숙명지어져 있다고 보는 것이다.
민중이란 개념에 있어서도 또한 아나키스트와 마르크스주의자 간에 현격한 차이가 있다. 마르크스주의자가 민중이란 밀을 사용할 때, 그것은 모름지기 구제를 받아야 하고 지도를 받아야 하고 통솔을 받아야 할 우매한 대중에 불과하다. 그러나 아나키스트가 말하는 민중은 그와 같은 피동적 타동적 존재가 아니다. 각자 자신의 오성적 판단과 양심의 결정에 따라 자율적으로 자기의 행위를 결단할 자유를 가진 독립한 주체적 인격으로서의 개인들의 집합체요, 그와 같은 민중의 자각적인 공동의 의지에 의해서만 비로소 진정한 사회혁명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혁명 방법론에 있어서 그들이 말하는 직접행동이란 그러한 주체적 인간의 자각적 행동을 가리킨 것이다. 자유란 남이 선사해 주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의 해방은 노동자 자신들의 힘으로!’ 이것이 아나키스트들의 이른바 직접행동론이다.
윗 자리에 올라 앉아 아랫 것들을 이끌어 주고 지시하고 또는 지령하는, 때로는 감시하고 감독하고 호령하는 그러한 지도자는 미구에 복면을 벗어 던지고 인민의 상전으로서 군림할 것이라고 아나키스트는 경고한다. 아나키스트들은 민중과 함께 민중의 대열속에서 민중의 일원으로서 행동하려고 한다.
한국자주인연맹
(08793)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56, 302호 | 1956, Nambusunhwan-ro, Gwanak-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 02-838-5296 | 관리자메일 : kaone@kaone.co.kr
COPYRIGHT ⓒ Danju Yurim Memorial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ENOUGHM]
한국자주인연맹 (08793)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56, 302호 | 1956, Nambusunhwan-ro, Gwanak-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 02-838-5296 | 관리자메일 : kaone@kaone.co.kr
COPYRIGHT ⓒ Danju Yurim Memorial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ENOUGHM]